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매매

부동산 보존을 위한 인도명령, 명도소송 부동산 보존을 위한 인도명령, 명도소송 안녕하세요, 부동산변호사 국상종변호사입니다. 법원의 매각허가결정이 선고된 이후 매각대금을 지급하기 전까지의 기간 동안 채무자, 소유자 또는 점유자가 해당 부동산을 훼손하는 등 가치를 감소시키는 행위를 하는 경우에 매수인은 그 부동산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법원에 부동산 관리명령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유권 방어를 위한 조치로는 부동산 관리명령,명도소송, 부동산 인도명령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부동산변호사로서 소유권 방어를 위한 방법 중 부동산 인도명령과 명도소송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인도명령이란? 매수인이 매각대금을 지급하고 유효한 소유권을 취득했음에도 불구하고 채무자나 점유자가 해당 부동산을 계속 점유하고 있으면 예상치 못한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 더보기
임차권과 전세권의 차이 임차권과 전세권의 차이 안녕하세요. 부동산매매변호사 국상종 변호사입니다. 전세권과 임차권의 차이를 알고 계신가요? 전세권과 임차권은 타인의 목적물을 사용, 수익할 수 있는 권리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물권과 채권이라는 점과 성질과 존속기간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데요. 오늘은 전세권과 임차권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세권은 전세금을 지급하고 타인의 부동산을 점유해 그 부동산의 용도에 좇아 사용·수익하며, 그 부동산 전부에 대해 후순위권리자 기타 채권자보다 전세금의 우선변제를 받을 권리를 말합니다. 임차권은 당사자 일방이 상대방에게 목적물을 사용·수익하게 할 것을 약정하고 상대방이 이에 대해 차임을 지급할 것을 약정함으로 효력이 생기는 권리를 말합니다. 전세권 전세권의 존속기간.. 더보기
부동산 매매계약과 해제_부동산매매계약소송변호사 부동산 매매계약과 해제_부동산매매계약소송변호사 안녕하세요. 부동산매매계약소송변호사 국상종변호사입니다. 부동산을 매매할 때는 계약이라는 것을 맺게 됩니다. 그러다가 계약의무를 위반하거나 일방적인 의사나 당사자간의 별도 약정으로 계약을 해제하기도 하는데요. 부동산 매매계약이 무엇이고 부동산 매매의 해제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매매계약 부동산 매매계약은 매도인이 부동산을 상대방에게 이전할 것을 약정하고 매수인이 그 대금을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부동산 매매계약의 효력 계약의 당사자 사이에 특별한 약정이나 관습이 없으면 매도인은 매수인에 대하여 매매의 목적이 된 부동산을 이전하여야 하며 이와 동시에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그 대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부동산 매매계약 해제 법.. 더보기
부동산매매계약 체결 시 권리관계 확인_부동산매매계약분쟁변호사 부동산매매계약 체결 시 권리관계 확인_부동산매매계약분쟁변호사 [부동산매매계약 체결 시 권리관계 확인] 부동산매매계약분쟁변호사 국상종 변호사 안녕하세요. 부동산매매계약분쟁변호사 국상종 변호사입니다. 부동산 매매계약의 체결 시에 부동산의 권리관계를 확인해야 하는데요. 매매당사자를 확인하고 부동산등기부, 토지대장, 임야대장 및 건축물대장,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마 부동산 거래를 할 때 이런 것들은 잘 확인 하지만 그 외의 다른 권리인 임차권, 전세권, 저당권이나 가등기, 가처분, 가압류 등의 등기의 설정 여부를 살펴보지 않는 분들이 많이 있을 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확인이 잘 되지 않는 경우 매수인은 소유권 행사에 제약을 받을 수 있어 매매계약 전에 확인을 꼭 하는 것이 필요합니.. 더보기
매각허가결정 항고인이 복수인일 경우 금전 또는 유가증권 공탁해야_부동산매매상담변호사 매각허가결정 항고인이 복수인일 경우 금전 또는 유가증권 공탁해야_부동산매매상담변호사 [매각허가결정 항고인이 복수인일 경우 금전 또는 유가증권 공탁해야] 부동산매매상담변호사 국상종 변호사 안녕하세요. 부동산매매상담변호사 국상종변호사입니다. 오늘은 매각허가결정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려고 하는데요. 복수의 항고인이 매각허가결정에 대해 항고장을 제출하는 경우, 그것도 별도로 제출을 하는 경우에, 경매절차에서 이해관계 기초가 되는 권리관계를 공유하는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금전이나 유가증권을 공탁해야 하는데요. 한 판례를 통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법원 2006.11.23. 자 2006마513 결정] 판결요지 민사집행법 제130조 제3항은 "매각허가결정에 대하여 항고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보증으로 매각대금의 .. 더보기
부동산매매계약 해제와 소유권 흠결(하자, 흠)_부동산매매계약변호사 부동산매매계약 해제와 소유권 흠결_부동산매매계약변호사 [부동산매매계약 해제와 소유권 흠결(하자, 흠)] 부동산매매계약변호사 국상종 변호사 안녕하세요. 부동산매매변호사 국상종변호사입니다. 저번에는 부동산 흠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소유권에 흠결이 있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그 상황에 맞는 대책을 새워 부동산 매매 계약을 해제할 때 적용해야 합니다. 소유권에 흠결이 있는 경우 소유권의 전부가 다른 사람에게 속한 경우 - 매매의 목적이 된 소유권이 타인에게 속한 경우에는 매도인은 그 권리를 취득하여 매수인에게 이전해야 합니다(「민법」 제569조). - 매수인이 매매계약 당시 소유권이 매도인에게 속하지 않음을 모른 경우 ① 매도인이 소유권을 취득하여 매수인에게.. 더보기